부동산

지방 부동산 시장, 끝없는 침체? 현황과 전망 총정리!

칼만두 2025. 5. 20. 08:49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지방 부동산 시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는 소식이 많은데요.

과연 지방 부동산 시장의 현주소는 어떻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지방 부동산 시장 상황은?

안타깝게도 지방 부동산 시장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지는데요.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지방 아파트 누적 하락률은 0.76%로,

이미 작년 한 해 전체 하락률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미분양 문제도 심각합니다. 올해 3월 기준 지방의 미분양 주택은 약 5만 2천 가구로,

전국 미분양 물량의 76%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방에 80% 이상 집중되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대구와 같이 미분양 적체가 심한 지역은 70주 넘게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하니,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겠죠? 


왜 지방 부동산 시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요?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첫째, 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일자리와 교육 등의 이유로 젊은 층이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지방의 주택 수요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죠.

실제로 2052년에는 지방 광역시 인구가 현재보다 25%가량 감소하고,

총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둘째, 주택 수급 불균형 문제입니다.

수도권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반면,

지방은 주택을 사려는 사람은 적은데 비해 공급된 물량이 해소되지 않아 가격 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셋째,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높은 금리, 대출 규제 강화 등도 지방 주택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필요한 정책은?

전문가들은 당분간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5년 KB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부동산 시장은 과거보다 높은 가격 부담, 미분양 아파트 증가, 건설업 불황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구 감소 추세가 계속되는 한, 지방의 분양 수요 회복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수도권과 지방의 상황을 고려한 차별화된 부동산 정책, 즉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예를 들어, 지방의 미분양 문제 해결을 위해 대출 규제를 완화하거나,

인구 감소 지역 주택 구입 시 세제 혜택을 강화하는 등의 맞춤형 수요 진작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정부는 지방 미분양 주택 구입 시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지역별로 스트레스 DSR 적용을 차등화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거나 검토 중입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지방 부동산 시장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필요한 정책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해 보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다양한 의견 나눠주시면 좋겠습니다!